최고관리자 관리자님 로그인 중 로그아웃

한국통합영양연구소

본문 바로가기

팝업레이어 알림

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.

수영양클리닉
HOME > 수영양클리닉

간 담낭, 췌장질환 지방간이란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16회 작성일 19-11-23 23:06

본문

지방간이란

정상적인 간에는 지방이 3~5% 함유되어있고 간에 지방이 5% 이상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지방간이라 말합니다.
지방이 10~12% 초과하기도 하며, 간세포의 1/3 이상 지방공포가 보이는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.


지방간의 증상

간은“침묵의 장기”라는 별명이 있듯이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. 
 간비대, 피로, 구토, 오심, 메스꺼움, 전신권태감, 상복부 팽만감 등 간손상, 간부전으로 빠르게 증상이 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중요합니다.


지방간의 원인

- 알콜성 지방간: 음주
- 비 알코올성 지방간:  비만, 당뇨,폐결핵,단백질 – 에너지 영양결핍, 장기적인 중심정맥영양, 항지방간 인자 부족, 폐결핵, 약물남용 등


* 항지방간 인자란?

지방간이 되지 않도록 도와주는 영양소:메티오닌, 콜린, 레시틴, 셀레늄 등


* 항지방간 인자 함유식품은?

메티오닌 - 달걀, 어란, 고등어, 대두, 우유, 간 등
콜린 - 난황, 물고기 뇌, 척추동물의 쓸개
 레시틴 - 대두, 해바라기씨, 밀기울, 선지 등
셀레늄 - 효모, 마늘, 파, 감, 해조류, 브로콜리, 닭고기, 연어 등


지방간의 진단 방법

1. 문진

과도한 음주 경력, 비만, 당뇨병, 고지혈증, 고혈압 등을 진단받았거나 치료 중인지 확인이 필요하고 과거병력을 조사 합니다.


2. 신체검사

체질량지수알아보기 [공식: 체중(Kg)/신장(m2)] 복부둘레와 엉덩이둘레 측정 - 복부비만 여부 확인합니다.


3. 혈액검사

AST, ALT, 알칼리포스파타제는 경도부터 중 정도까지 상승합니다.
술이 원인인 경우: γ-GTP 상승. 비만이거나  음주가 심할 경우  혈중 중성지방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


4. 초음파 검사 및 CT검사

5. 간 조직검사

간 조직을 얻어 현미경으로  관찰합니다.


지방간의 식사요법

1. 건강체중을 유지하도록 합니다.

비만이라면 에너지 섭취량을  조절하여 평상시 보다 25%정도 줄이기​를 시도합니다.
(하루400-500Kcal)


2. 단백질의 적절한 섭취

간세포 재생 도움, 지단백 합성 등 ( 측쇄아미노산이 방향족 아미노산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을 선택하여 섭취합니다.)


3. 알코올 섭취를  금합니다.

4. 과다한당질섭취를  제한하며 특히 단순당의 섭취를 제한 합니다.

당질 과다는 혈중의  중성지방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  총 열량의 60%이하로 당질을 섭취합니다.


5. 비타민과 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합니다.

6. ​체내에 쌓여 있는 독서 배출을 위해 글리코 영양소를 섭취합니다.


지방간을 회복하기 위한  생활습관

유산소 운동– 걷기, 조깅, 수영, 자전거 타기
운동강도– 1일 30-60분, 일주일 2번 이상, 최소 6주 이상




(우) 04116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270, 수창빌딩 608호 / 전화 : 02-6203-4161 / 이메일 : kiindoctor@naver.com
Copyright © 한국통합영양연구원 All rights reserved.